헤르페스 증상은 시간이 지나면 약해질까? 과학적으로 본 바이러스 배출률 변화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시간이 지나면 완화될까요?
성기 2형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연도별 배출률
이 현상은 1형과 2형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납니다.
이번에는 **성기 헤르페스 감염의 약 92%를 차지하는 2형(HSV-2)**의 연도별 바이러스 배출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10년 12월 9일 전자 출판된 논문 *「Persistent genital herpes simplex virus-2 shedding years following the first clinical episode」*에 따르면,
2010년 12월 9일 전자 출판된 논문 *「Persistent genital herpes simplex virus-2 shedding years following the first clinical episode」*에 따르면,
감염된 지 1년 미만인 급성 증상기 환자의 평균 바이러스 배출률은 **33.6%**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다른 연구들에서도 보고된 1년 미만 환자들의 20~40% 수준의 결과와 일치합니다.)
쉽게 말해, 100일 중 약 33일은 해당 부위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쉽게 말해, 100일 중 약 33일은 해당 부위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는 의미입니다.
같은 연구에 따르면, 첫 발병 후 1년에서 9년이 지난 환자군은
평균적으로 20.6%의 날에서 바이러스 배출이 관찰되었습니다.
또한 감염된 지 10년 이상 경과한 환자군에서도 여전히 16.7%의 날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배출 빈도는 점차 감소하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10년이 지난 후에도 HSV-2는 간헐적으로 성기 부위에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지 10년 이상 경과한 환자군에서도 여전히 16.7%의 날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배출 빈도는 점차 감소하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10년이 지난 후에도 HSV-2는 간헐적으로 성기 부위에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
연구진이 무증상(잠재적) HSV-2 배출만 따로 분석했을 때에도,
첫 감염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그 빈도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감염된 지 1년 미만인 초기 환자군은 26.2%의 날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습니다.
1년에서 9년이 지난 환자군에서는 13.1%의 날,
10년 이상 경과한 환자군에서는 9.3%의 날에서 바이러스가 무증상 상태로 검출되었습니다.
즉, 겉으로 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바이러스는 여전히 간헐적으로 배출됩니다.
감염된 지 10년이 지나도, 평균적으로 100일 중 약 9일은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배출률은 점차 감소합니다.
감염된 지 1년 미만의 환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바이러스를 배출하며, 수포 등의 증상도 가장 자주 나타납니다.
이후에도 이러한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지만, 해가 지날수록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성기 1형 헤르페스 바이러스 배출
이런 배출률의 차이는 헤르페스1형과 2형의 경우에 약간의 차이를 보입니다.
감염 후 2개월 시점에는 참가자의 약 65%가 한 번 이상 생식기에서 HSV-1이 검출되었는데
감염 후 2개월 시점에 **생식기에서 HSV-1이 검출된 날짜는 전체 검사일 중 12.1%**였으며, 11개월 시점에는 7.1%로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